본문 바로가기
Psychology

미러링 효과 - 거울 속 나는 진짜 나일까?

by 로모코 2023. 4. 25.
반응형

 

 

 

 

 

 

■ 효과 설명

 

미러링 효과는 개인의 자아관념은 무의식적으로 타인과 교류되면서 형성되고 타인의 행동, 관념, 감정등을 모방하여 반영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자신의 생각이나 의식이 타인의 행동 및 태도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사회 심리 현상입니다. 이것은 마치 우리가 거울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보는 것처럼 나에 대한 자아 인식도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나에 대한 어떤 태도를 가지는 지에서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이 현상의 전제는 의식에 의한 모방이나 전이가 아니라는 것이며, 의식적인 상태에서 이 모방이나 전이가 인식되어지면 오히려 미러링에 대한 거부감을 일으킵니다. 이 모방으로 인한 자아 인식 형성에 대해서 카멜레온 효과(Chameleon effect)라고도 합니다.

 

 

 

 

■ 실험

 

미국의 심리학자 타냐 차트란드는 행동을 모방하는 사람에게 더 호감을 느끼는지에 대한 호감도 측정 실험을 하였습니다.실험조교와 실험 참여 학생이 15분간 토론을 하도록 한 후에 참여 학생들에게 실험조교에 대한 호감도를 확인하였습니다. 이 실험에는 전제가 있었는데, 첫 번째 그룹에서는 실험조교에게 참여학생들의 행동을 따라 하게 하였고 두 번째 그룹에서는 실험조교에게 참여학생들의 행동을 따라 하지 말라고 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첫 번째 그룹의 참여학생들이 두 번째 참여학생들보다 실험조교에 대한 호감도가 15% 정도 높게 나왔습니다. 실험의 결과로 보았을 때 사람은 자신의 동작과 행동을 따라만 하여도 무의식적인 호감을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이 가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하버드 대학의 니컬러스 크리스타 키스 교수와 캘리포니아 대학의 제임스 파울러 교수는 인간의 감정이 사회적으로 타인에게 전염이 되는가에 대한 실험도 진행하였습니다. 32년에 걸쳐 1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를 보면 행복한 친구가 한 명 생길 때마다 행복해질 확률이 9%씩 증가하고, 불행한 친구가 한 명 생길 때마다 행복해질 확률이 7%씩 감소했다는 결과입니다. 또한 친구가 우울하면 우울할 가능성이 커지고, 친구가 뚱뚱하면 뚱뚱할 가능성이 커지고, 친구가 자살을 한다면 실제 자살할 비율도 높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타냐 차트란드가 실험한 행동전이에 따른 무의식적 호감도 증가와 마찬가지로 심리적 감정도 전이된다는 실험결과입니다.

 

 

 

 

■ 심리 활용법

 

나는 타인이 나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상상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타인이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나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해 타인이 어떤 감정을 갖는지도 추축 할 수 있게 됩니다. 마침내 이러한 타인이 가지고 있는 나에 대한 감정들이 나의 자아인식을 지배하게 됩니다. 한 사람의 자아관이 형성되는 과정을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내가 봉사활동을 열정적으로 한 후 다른 사람들의 여러 평가와 반응을 보면서 다른 사람들이 나를 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으로 인식할 것이라고 상상합니다. 이어서 다른 사람들의 평가나 다른 반응을 통해 다른 사람들이 나를 열정적으로 인생을 사는 선한 사람으로 생각하리라 추측하게 됩니다. 그 이후에 나는 이런 인식과 평가에 대해 기쁨을 느끼게 되며, 자신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생각하고 나 스스로를 아주 열정적이고 선한 사람이라고 믿게 됩니다. 그러므로 나는 이런 믿음이 자신에 대한 삶의 기준이 되어 스스로에게 계속 요구하게 됩니다. 이렇게 한 사람의 자아관이 형성되게 되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보면 나의 봉사활동이 어쩔 수 없이 하게 된 행동, 즉 가짜 행동을 한 내가 타인의 평가와 반응을 통해서 그 가짜 행동들이 가짜가 아님으로 스스로를 믿게 되어 진짜로 그렇게 되어간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는 나를 그렇게 만들어준 타인들에게 호감을 느끼게 되고 나를 믿는 것처럼 타인도 그렇게 믿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내가 거울을 통해서 나를 보게 되고 그 모습에서 만족할 기쁨을 얻게 되면 그 거울이 비록 왜곡된 거울이라 할지라도 거울 속에 내 모습이 진짜라고 믿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거울에 비친 내 모습처럼  나의 행동과 보이는 반응과 같은 행동과 반응이 인식되면 기쁨을 주는 거울이라면 자기화가 되기에 믿음이라는 강력한 호감이 생기게 됩니다. 이를 역으로 내가 다른 이에게 호감을 주거나 믿음을 주기 위해서 무의식적인 행동 모방만으로도 거울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연유로 나의 거울이 되는 타인의 평가와 반응이 의도된 목적을 가진 가짜 거울인지 잘 확인해보아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